본문 바로가기

척척박사38

Compounds 종류 1. attributive compounds (서술 합성어): 한 단어가 다른 단어를 설명하거나 속성을 나타내는 합성어. - endo (내부 서술 합성어): 합성어 전체가 한 구성 요소의 하위 범주에 속하는 경우.: "blackboard" (black + board), "smalltalk" (small + talk): "blackboard"는 검은색의 보드를 의미하며, "smalltalk"는 작은 대화를 의미.: 각각의 합성어는 한 구성 요소 (board, talk)의 하위 범주에 속함. - exdo: 전체가 어떤 구성 요소의 하위 범주에도 속하지 않는 경우.: "pickpocket" (pick + pocket), "scarecrow" (scare + crow): "pickpocket"은 주머니를 도둑질.. 2024. 11. 30.
Lexeme formation #4 zero affixation (제로 접사): 형태 변화 없이 단어의 품사나 기능을 변화시키는 것. : "to email" (Noun: email ⟶ Verb: to email): "email"이라는 명사를 접사 없이 그대로 동사로 사용하는 것.  coinage (신조어): "Google" (브랜드 이름에서 유래하여 "검색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됨)  backfromation (역성법, (N⤑V)): 주로 명사에서 동사를 만드는 데 사용됨.: "editor"라는 명사에서 "-or" 접미사를 제거하여 "edit"이라는 동사가 만들어짐.  blending: 두 단어의 일부를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것.: "brunch" (breakfast + lunch), "smog" (smoke + fog)    ac.. 2024. 11. 30.
영어의 7가지 Affixes affixes (접사): 단어에 붙어서 의미를 변화시키거나 문법적 기능을 부여하는 형태소: 접두사, 접미사로 나눔  1. personal or participant affixes: "-er" (예: teacher, worker), "-ist" (예: artist, scientist) 2. locative affixes: "-ward" (예: eastward, homeward), "-where" (예: somewhere, nowhere) 3. abstract affixes: "-ness" (예: happiness, darkness), "-ity" (예: reality, possibility) 4. negative and privative affixes: "un-" (예: unhappy, unfair), ".. 2024. 11. 30.
Lexeme formation #3 cran morphemes: 의미가 명확하지 않지만 특정 단어에서만 사용되는 형태소.: "cranberry"라는 단어에서의 "cran-". 다른 단어에서는 찾아볼 수 없으며, 독립적인 의미를 가지지 않음.  extenders: 단어의 어근에 추가되어 단어의 형태를 확장하지만, 독립적인 의미를 가지지 않는 형태소.: 단어의 발음이나 형태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됨.: "o" in "speedometer" (speed + o + meter), "i" in "sociology" (socio + logy): "speedometer"에서 "speed"와 "meter" 사이에 "o"가 추가되어 발음을 쉽게 하며, "sociology"에서는 "socio"와 "logy"를 연결함.  sound symbolism: 소리가 .. 2024. 11. 30.
Lexeme formation #2 base (어기): 접두사나 접미사가 붙기 전의 기본 단어  free base (자유 어기): 혼자서도 의미를 가지며 독립적인 단어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소.: 다른 형태소가 붙지 않아도 완전한 단어로 존재할 수 있음.   bound base (의존 어기): 자체적으로 의미를 가지지 못하고, 다른 형태소와 결합해야만 의미를 가지는 어기: "-ject"는 혼자서는 의미를 가지지 못하지만, "project", "reject"에서 의미를 가짐. root (어근): 자체적으로 단어의 기본 의미를 가지는 형태소. 다른 형태소가 추가되어도 변하지 않는 중심 의미를 지님.  bound root (구속 어근): 단어의 중심 의미를 가지지만, 혼자서는 의미를 가지지 못하고 다른 형태소와 결합해야만 의미를 가지는 어근이... 2024. 11. 30.
Lexeme formation #1 morphemes (형태소): 의미를 가진 가장 작은 단위의 말. 단어를 더 이상 나눌 수 없을 때 부르는 단위: "사과"는 하나의 형태소, 더 이상 작은 의미 단위로 나눌 수 없음  free morphemes (자유 형태소): 자체로 의미를 가지며 단어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소.: "책", "사과", "사랑하다". 각 단어는 의미를 가지며 단어로 사용됨.  bound morphemes (의존 형태소): 혼자서는 의미를 가지지 못하고 다른 형태소와 결합해야 의미를 가지는 형태소.: "들" (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 "안" (부정을 나타내는 접두사)  prefixes (접두사): 단어의 앞에 붙어서 의미를 변화시키는 형태소: "불-" → 불가능, 불성실  suffixes (접미사): 단어의 뒤에 붙어서 .. 2024. 11. 30.
어린이의 어휘 습득 관련 세 가지 원칙 1. Lexical contrast principle (어휘 대비 원칙): 새로운 단어가 이미 알고 있는 단어와 다른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하는 원칙.: 아이들은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고 정확하게 이해하게 됨.: 아이에게 "고양이"라는 단어를 가르쳤다면, 나중에 "강아지"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이미 알고 있는 "고양이"와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함  2. Whole object principle (전체 객체 원칙): 아이들이 새로운 단어를 배울 때, 그 단어가 부분이 아닌 전체를 가리킨다고 생각하는 원칙.: 단어가 물체 전체를 나타낸다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줌.: 아이에게 "토끼"라는 단어를 가르칠 때, 아이는 "토끼"가 귀나 꼬리 같은 부분이 아니라 전체 동물을 의미한다고 생각함.  3. Mutual .. 2024. 11. 30.
Nonces, Mistakes, Mountweazels # nonces (조어): 한 번만 사용된 단어. 일시적으로 만들어진 단어.: 특정 상황에서만 사용되고, 일반적으로 널리 퍼지지 않는 단어  # mistakes (실수):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 발생하는 오류. 주로 철자, 문법, 발음에서 잘못된 부분.: "나는 배를 먹었다"를 "나는 배를 먹어따"라고 쓸 때, "먹었따"는 철자 실수예요.  # mountweazels (마운트위젤): 사전에 고의로 삽입된 가짜 항목. 저작권을 보호하거나 사전의 진위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됨.: 사전에 "Zxjanw"라는 단어가 실려 있다면, 이는 존재하지 않는 단어로 마운트위젤일 수 있음. 2024. 11. 30.
Morphology 👀 형태론?  word tokens: 단어 토큰은 문장이나 글에서 실제로 사용된 단어 (하나의 단어들): "나는 학교에 갔다." → "나는", "학교에", "갔다" , 총 3개의 단어 토큰이 있죠. word types: 단어의 종류. 같은 단어가 여러 번 나와도 한 번만 셈.: "나는 학교에 가고, 나는 친구를 만났다." → "나는"은 중복 단어라, 단어 유형으로 1번으로 카운트는 한 번으로! →    "나는 ", "학교에", "가고", "친구를", "만났다"로 5개의 단어 유형 lexeme (어휘소): 의미가 동일한 단어 집합. 형태는 다르지만 같은 의 미를 가진 단어들은 모두 같은 어휘소로 분류.: "run", "runs", "running" → 모두 같은 어휘소 "run"에 속함 mental le.. 2024. 11. 30.
Suggestopedia Suggestopedia: 게오르기 로자노프, 편안한 의자, 바로크 음악 사용, 억양과 리듬이 중요  #Approach*언어이론: 명시X, 어휘 강조 (의미 있는 텍스트에서 언어 자료를 경험, 문장속 어휘 암기), 문법 강조X *학습이론: 암시! : 암시-탈암시적 감각을 지님, 심리적 이완 > 예비 기억에 접근: 탈암시 - 불필요한 기억을 제거: 암시 – 원하는, 도움되는 기억을 저장소에 입력  *탈암시와 암시가 잘 작동하는 이론적 요소-권위: 교사와 교육기관은 권위를 가져야. 부모같은-유아화: 학생은 아이 역할에 충실, 역할극. 게임 참여-양면성: 교육 환경도 중요, 밝은 분위기, 음악, 편한 의자-억양, 리듬, 음악 효과: 다양한 억양과 리듬을 변화 > 지루함X, 바로크음악> 편안한 학습태도, 불안과.. 2024. 10. 31.
Community Language Learning Community Language Learning 상담 학습이론을 언어 교육에 적용 칼 로저스 (전인교육, 인지+정서, 지식 쌓기에만 몰두하는 것이 아니라 정서적인 면도 고려)을 바탕으로 개발커뮤니티 = 서로 협력하는 관계, 경쟁X, 학습공동체bilingual education과 관련 (L1, L2 모두 사용)  #Approach: Humanistic approach (학생이 topic을 정하면 교사가 교수요목 만들어 수업 진행)*언어이론: 상호작용적 관점(언어=사회적 과정), VERBAL+NONVERLBAL 추가- 학습자간 상호작용>친밀감 상승, 협력, 동기부여- 학습자-교사간: 의존>자기주장>분노>관용>독립 *학습이론: 전인적 학습 (인지+정서)- 아동 발달과 동일하게 봄. 언어는 교사와의 관계를 통.. 2024. 10. 31.
Silent Way Silent Way : 칼렙 가테그노가 고안, 교사는 교실에서 가능한 한 침묵하고 학습자는 가능한 한 많은 언어를 생산하도록 장려, 컬러 차트 + 컬러 퀴즈네어 막대 사용, 침묵이 다른 많은 문화 집단보다 미국인들에게 언어화를 더 강하게 유도  #Approach*언어이론: 회의적인 시각, 언어 = 경험의 대체물, 토큰과 그림 차트를 사용한 시뮬레이션 경험이 중요‘언어의 정신’을 파악하는 것의 중요: 언어 고유의 소리 체계와 멜로디를 이루는 방식에 대한 느낌을 얻어야함. *학습이론: 구조적인 접근 방식, 문법적 복잡성에 따라 순서를 따르며, 새로운 어휘 및 구조 자료는한 번에 한 가지 요소씩 제시, 목표 언어의 구조적 패턴을 제시받고 주로 귀납적인 과정을 통해 언어의 문법 규칙을 학습어휘 강조 ( Semi.. 2024. 10. 30.
Total Physical Response Total Physical Response  - 말과 행동의 조화를 중심으로 하여, 신체 활동을 통해 언어를 가르치려고 시도- 제임스 애셔(James Asher) 개발- 성인의 성공적인 제2언어 학습이 어린이의 모국어 습득 과정과 유사- 명령형 동사를 사용한 신체 활동 기반의 연습을 통해 달성  #Approach*언어이론: 구조주의적 또는 문법 기반의 언어관에 많은 영향>표 언어의 문법적 구조와 수백 개의 어휘 항목은 교사의 명령형 동사를 능숙하게 사용함으로써 배울 수 있다.언어가 개별 어휘 항목이 아니라 전체 또는 덩어리로 내면화될 수 있다고 언급하며, 이는 어휘 접근법(Lexical Approach)과 연결  *학습이론: 자극-반응 모델이 언어 교수법의 학습 이론을 제공  *학습가설 3가지1) 언어 .. 2024. 10. 30.
The Natural Approach The Natural Approach: 모국어를 습득하듯이 자연스럽게 학습하자!   *특징: input, 학습자의 감정적 준비, 말하기 전 듣기활동에 집중, 연습보단 노출이 더 중요. 의미있는 의사소통에 중점. 의미전달과 유창성을 강조! 오류 수정X▶ 이해가능하고 유의미한 연습 활동을 강조 (정확성 중요X) CF) Natural Method (=direct method) : 언어 규칙,문법을 강조, 정확성 강조, 교사 중심, 반복학습   #Approach*언어이론: 명확한 이론 X, 학습 이론에 좀 더 토대. - TBLT와 공통점. 언어는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 의미에 집중. 문법보다는 어휘를 강조. - 습득은 목표언어로 제시된 메시지를 이해할 때 일어나는 것. *학습이론: 참스키에 의해 시작된 Cogn.. 2024. 10. 30.
The Audiolingual Method #Approach*언어이론: 구조주의 언어학: (음소>형태소>단어>구>절...) 피라미드식 구조인 상향식. 있는 그대로를 기술하여 패턴이 중요!: 규칙이 지배적인 구조적인 방식으로 순서대로 만들어진 것!  *학습이론: 행동주의 심리학 (자극, 반응, 강화): 강화가 있어야 행동이 다시 일어날 가능성이 증가하고 습관이 됨. 듣기와 말하기를 강조. : 문법은 직접적으로 가르치 말 것. 듣기와 말하기를 반복하다보면 규칙을 저절로 유추하게 된다.    #Design *Objectives: 원어민처럼 사용하는 수준 *Syllabus: linguistic syllabus, contrastive analysis 활용..  - Contrastive analysis : L1, L2 대조 분석, 차이가 큰 구조는 습득하기.. 2024. 10. 30.
The Oral Approach / Situational Language Teaching (SLT) # Situational Language Teaching (SLT) / Situational Approach1950년대 등장, oral approach의 한 종류 *주요 특징- spoken LG로 수업을 한다. 수업 내용을 written form이 제시되기 전 구두로 가르친다.- 목표언어가 교실에서 사용되는 언어다.- 새로운 언어 내용은 상황적으로 소개되고 연습된다. (실물 교재와 물건을 사용한다)- 어휘 선정을 중시한다.- 문법요소를 등급화하여, 쉬운 형태에서 어려운 형태 순서로 가르쳐야한다.- 어휘와 문법을 먼저 가르친 뒤 읽기와 쓰기를 소개한다   #Approach*언어이론: 구조주의 언어학(문법적 패턴과 구조의 체계를 숙달) + functional trend : 어순, 내용어, inflexions.. 2024. 10. 30.
기타 교육 방법론 용어 정리2 6.CBLT(content-based language teaching) =CLIL내용기반수업은 새로운 언어에 노출되는 시간을 늘리며, 학생들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언어를 습득하는 동기를 제공하고, 의사소통의 필요성을 만들어 낼 수 있음.늦은 시기일지라도 어느 정도 유창함을 이룰 수 있지만, 높은 수준의 언어 정확성은 글쎄.. 학교 안과 밖의 차이가 클수록 이 정확성은 한참 뒤처진다(홍콩의 예)  7.양적연구, 질적연구, 행동(action)연구:양적연구, 질적연구는 이론적 제안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며, 교실에서 교사가 수행하는 행동연구는 계획-실행-관찰-반성의 사이클로 결과를 적은 연구임.   8.실험적 연구(experimental studies)의 목적은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변수들을 확인하기 .. 2024. 9. 30.
기타 교육 방법론 용어 정리1 1.TBLT(Task-based language teaching)의미 활동, 의사소통 + 문법 형태를 동시에 줌으로 학습자가 학습하도록 함. 2.FFI(The form-focused instruction)FFI는 explicit와 implicit 방식으로 언어의 주의를 갖게 하는 다양한 활동의 수업임.  3.Language related episodes(LREs)학습자가 하는 말 중에서 우리가 관심을 갖는 부분, target structure이 들어 있는 부분만을 따로 추출해서 분석하는 것임.  4.Meta-analyses많은 연구를 종합한 것으로 연구한 것들을 모아 다시 연구하는 것이고 효과의 크기(effect size)로 분석하는 것. 최근의 복잡 또는 간단한 문법규칙 수업 유형의 효과의 상위 분석 .. 2024. 9. 30.
L2교육의 6가지 접근법: corrective feedback + form-focused instruction 6.Get it right in the end(마지막에 똑바로 해라) 요즘 대세 수업 방식Get it right from the beginning과 완전히 대치됨.문법 맞춤 수업 (form-focused instruction) + corrective feedback 에서의 차이-“마지막에 똑바로 해라”의 경우(1) 방법이 다르다 (explicit + implicit) (2) Timing이 다양하다.-“처음에 똑바로 해라”의 경우(1) explicit만 제공(2) 틀렸을 때 바로 고쳐줘야 한다.  교실활동에서 학생이 의미 있는 언어를 표현하고 이해할 기회를 만드는 것으로 이루어져야 함. 이 제안은 FFI와 CF이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이라는 가설에 바탕을 둠. 다만 meaning-based와 for.. 2024. 9. 30.
L2교육의 6가지 접근법: Teachability Hypothesis 5. Teach what is teachable = learnability(가르칠 수 있는 것을 가르쳐라) : teachability hypothesis (processability / teachability) 준비가 되지 않으면 가르치지 말라는 입장임.발달순서에 대한 부분은 아직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발달순서에 따른 수업이 학습을 촉진 시킬수 있다는 증거는 있다. 또한 학습자가 중간언어의 수업을 통해 바뀌는 방법에 대해 교사의 실질적인 기대를 갖게 하여 도움이 된다.  a.developmental features몇몇 언어구조, 문장에서의 단어순서는 발달 순서가 있고 예측가능한 발달경로를 따라서 발달한다고 하여 정해진 순서대로 가르쳐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학습상의 발달단계를 평가하여 순서상 다음에.. 2024. 9. 30.
L2교육의 6가지 접근법: Content-based Approach 4. Get two for one(일석이조) = content-based Approach 이 제안은 몰입수업이나 이중언어수업, 심화ESL 수업환경이 대표적인 content-based 교육법이다. 이것은 많은 시간동안 언어에 노출될 수 있고 의사소통과 내용의 이해를 위해 대상 언어의 진정한 필요성을 만들어 준다.  하지만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어려움이 있다. 학습자가 의미 바탕 수업 환경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과 자신감을 더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 2024. 9. 30.
L2교육의 6가지 접근법: Interaction-Based Approach 3. Let’s talk (함께 말하자) = interaction based  이 제안은 이해가능한 input과 대화적인 상호작용의 중요성 강조하고 modified interaction, negotiation for meaning이 중심임.  의미협상은 다양한 상호작용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조정을 통해 가능.  이것은 대화적 상호작용에서 자연적 의사소통을 하려는 시도와 의미를 강조.  의미중심의 상호작용에서는 교사가 에러에 대한 피드백으로 form을 recast를 해도 학생은 form에 주의를 기울이기보다는 대화의 일부분으로 해석할 수 있어서 이 수업법 자체로는 완전하지 않다. 2024. 9. 30.
L2교육의 6가지 접근법: Comprehension-Based Approach 2. Just listen and read (그냥듣고읽어라) = comprehension-based approach Krashen의 이해 가능한 입력가설을 바탕에 둠. 이해 가능한 입력을 하려면 학습자를 위해 만들어진 어휘의 등급이 나누어진 교재가 필요. 이 교재는 등급을 맞추기 위해 조정된 것임. 입력강화(enhanced input)와 처리수업(processing instruction)을 통해 특정언어에 높은 빈도로 노출을 제공하여 form입력이 가능.  a.input flood 입력홍수implicit하며 높은 빈도의 노출로 글을 읽고 다양한 이해를 돕는 활동을 하여 form을 학습시키지 않고 error correction을 하지 않음. 학습자의 중간언어에 새로운 것을 더하도록 도와주지만 모국어에 기초.. 2024. 9. 30.
L2교육의 6가지 접근법: Structure-based Approach 1.Get it right from the beginning (처음부터 똑바로 해라) = Structure-based Approach  A. 문법번역 교수법, 한 문장씩 목표 언어를 모국어로 번역 하는 훈련 B. Audiolingual(청화식) 교수법, 행동주의, 대조분석초보 학습자들은 수업에서 자유롭게 말할 수 없으며 학습자들은 교사에 의해 처음부터 완벽하게 말하는 연습을 한다.(Pattern practice drill)  그러나 전통적인 문법 번역 수업과 audiolingual 수업은 능숙함을 보장해주지 못함으로 자주 실패함학생 자신감 결여대화 유입이 되지않아서 보다 대화적 접근 방식으로 발전이 필요. 2024. 9. 30.
Corrective feedback 유형 Corrective feedback 수정적 피드백의 6가지 유형  a.명시적수정(explicit feedback) b.올바른 형태로 되돌려주기(recast) c.명확하게 해달라고 요청(clarification recasts) d.상위언어학적 피드백(metalinguistic feedback) e.유도하기.이끌어내기(elicitation) f.반복(repetition) 2024. 9. 30.
기타 SLA 가설: Complex dynamic systems theory(CDST) Complex dynamic systems theory(CDST):CDST은 인풋을 강조하고 작은 인풋이 큰 변화를 일으킬수 있다고 함. dynamic system theory와 chaos/complexity theory 둘다를 말함. A. 복잡한 시스템과 그들의 상호연결언어는 복잡한 시스템을 가지고 서로 복잡하게 관련됨. B.발달의 비직선적(= 나비효과)발달단계는 직선적이지 않고 가변적(variability)임. 학습자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단계를 뛰어넘거나, 뒤로 가거나, 혹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C. 복잡한 시스템의 역학본질CDST이론가들은 L2학습보다는 L2발달이라는 용어를 더 선호한다. 왜냐하면 발달은 목표나 방향이 없고 변화만 있기 때문. 환경과의 상호작용과 내부의 자기조직화의 힘을 받.. 2024. 9. 30.
기타 SLA 가설: Sociocultural perspective # Sociocultural perspective : 사회문화적 관점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이론은 언어는 사고와 함께 간다고 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말함.언어와 사고는 단단하게 얽혀있어서 언어로 사고(mediation)한다고 함.  # Mediation 3단계-observation relation-others relation(social interaction)-self-regulation(internalization, private speech)  내면화는 ZPD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며, 대화상대자의 scaffolding에 의해 학습자가 더 높은 수준에서 수행가능하다. ZPD와 Krashen의 I+1은 서로 다른 견해임.ZPD는 학습자가 대화상대자와의 협업을 통해 지식을 쌓는 영역이.. 2024. 8. 28.
기타 SLA 가설: The noticing hypothesis / Processibility theory # The Noticing hypothesis 주목가설 주목하지 않으면 학습되지 않는다고 하며 주목의 결과가 꼭 습득은 아니지만 필수적인 시작점임. 이해 가능한 입력을 통해 언어지식의 성장을 이끌어냄. 주목가설의 핵심은 detection+attention+awareness.  # Processibility theory (처리가능성이론= Learnability / teacherability) 학습자는 L1과 L2 모두 “발달 단계”를 가진다. 즉, 배움에는 순서가 있고 다음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readiness가 필요. 모든 학습자의 습득순서는 달라도 동일한 습득순서를 따름. developmental readiness발달 준비 단계: 학습자가 input 또는 수업을 처리할 수 있는 단계에 도달했을 때 수업.. 2024. 8. 27.
기타 SLA 가설: The interaction hypothesis 상호작용 가설 # The interaction hypothesis 상호작용 가설 modified input+modified output, 이것이 가장 핵심.   # Modified interaction 이해 가능한 언어를 만들어내는데 필수적이고 학습자는 다른 화자와 상호작용할 기회를 갖고 의미를 위한 협상을 통해 상호 이해에 이르게 됨. 이 의미를 위한 협상을 취해서 input과 output이 조정됨. a. 이해여부체크b. 명확하게 해달라고 요청c. 스스로 반복이나 말을 바꿔서 말하기▷ 상호작용 가설은 Long에 의해 수정되어 상호작용을 하는 동안 noticing과 corrective feedback과 같은 인지적 요인을 강조. 의사소통이 어려울 때는 대화 상대자는 의미를 위한 협상을 해야 함.   # Comprehe.. 2024. 8. 27.
인지주의에 해당하는 모델: connectionism, Usage-based learning, The Competition Model 행동주의, 생득주의와 구분되는, The cognitive perspective인지적 관점에 해당하는 다양한 모델들  1)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정보처리모델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정보처리모델The cognitive perspective의 한 갈래  #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정보처리모델 (1) Automatic Knowledge Build-up 자동지식축적정보처리는 automatic knowledge를 만드는 것으로 학습된 지식이 습득된 지식이 되고 자es25ai.tistory.com   2) Usage-based learning (connectionism) 사용기반학습⟷ 행동주의와 반대 언어는 사용하면서 습득한다고.. 2024. 8.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