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interaction hypothesis 상호작용 가설
modified input+modified output, 이것이 가장 핵심.
# Modified interaction
이해 가능한 언어를 만들어내는데 필수적이고 학습자는 다른 화자와 상호작용할 기회를 갖고 의미를 위한 협상을 통해 상호 이해에 이르게 됨. 이 의미를 위한 협상을 취해서 input과 output이 조정됨.
a. 이해여부체크
b. 명확하게 해달라고 요청
c. 스스로 반복이나 말을 바꿔서 말하기
▷ 상호작용 가설은 Long에 의해 수정되어 상호작용을 하는 동안 noticing과 corrective feedback과 같은 인지적 요인을 강조. 의사소통이 어려울 때는 대화 상대자는 의미를 위한 협상을 해야 함.
# Comprehensible Output Hypothesis: Swain 주장
=pushed output: 이해 가능한 출력을 만들어내기 위한 요구는 학습자가 발달하도록 push함.
학습자들은 L2의 한계를 인식하고 그들 스스로 더 잘 표현하는 방법을 추구해야 함.
comprehensible output은 학습자가 그들의 언어 skill을 좀 더 발달시키도록 함하고 학습자가 형식과 의미에 초점을 맞추면서 언어지식을 공동구성하는 collaborative dialogue(공동대화)를 탐구.
이 공동대화는 인지적 활동과 사회적 활동을 연결함.
'척척박사 > 영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타 SLA 가설: Sociocultural perspective (1) | 2024.08.28 |
---|---|
기타 SLA 가설: The noticing hypothesis / Processibility theory (1) | 2024.08.27 |
인지주의에 해당하는 모델: connectionism, Usage-based learning, The Competition Model (0) | 2024.08.27 |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정보처리모델 (2) | 2024.08.27 |
Krashen’s Monitor Model (3) | 2024.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