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척박사38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정보처리모델 The cognitive perspective의 한 갈래 #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정보처리모델 (1) Automatic Knowledge Build-up 자동지식축적정보처리는 automatic knowledge를 만드는 것으로 학습된 지식이 습득된 지식이 되고 자동화 된다는 의미. (2) Automaticity 자동성 = fluency자동적 반응은 정보를 처리하는데 인지자원을 쓰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 능숙한 언어학습자는 글이나 대화에 전체적 의미에 완전히 관심을 줄 수 있지만, 덜 능숙한 학습자는 단어나 단어 관계를 처리하는데 관심을 더 기울임. (3) Declarative to Procedural KnowledgeL2습득을 기술학습으로 볼 때 언어학습의 대부분은 .. 2024. 8. 27. Krashen’s Monitor Model Krashen’s Monitor Model 생득주의의 강한 Version아이들은 이해 가능한 input만 주면 됨. 학습은 절대 필요 없고, 가르치면 안 됨.Implicit으로 갈 수 없고 zero option을 주장. #Krashen’s Monitor Model의 5가지 가설 1) Acquisition/Learning Hypothesis 습득학습가설 학습된 지식이 습득될 수 없다고 주장하며 둘은 확실히 다르고 습득을 강조. 아이가 L1을 습득하듯이 무의식적으로 L2를 습득하며 형태나 규칙 학습을 통해 의식적으로 L2학습. 습득을 강조하고 습득이 목표이고 언어를 사용 가능하게 함. 2) Monitor Hypothesis 감시자가설L2학습자들은 학습한 규칙과 패턴을 사용하며 자신의 말과 글을 감시함... 2024. 8. 26. SLA 영어 교육의 3가지 관점 1. The behaviourist perspective 행동주의자 관점행동주의는 모방과 연습, 긍정적 강화, 올바른 언어 사용을 위한 습관형성의 측면에서 학습을 설명. 교실활동은 모방과 강조를 통해 학생은 대화와 문장패턴을 외워서 학습. 대조분석가설과 행동주의는 연결되는데 항상 모국어 기반의 오류를 만들지도 않고 L1과 L2의 비교로 오류를 항상 예측불가능해서 이 두 가설은 오랫동안 제한적 관심을 받음. 2. The innatist perspective 생득주의자 관점촘스키가 행동주의를 비판하면서 모든 아이는 보편 문법(universal grammar)의 원리에 대한 타고난 지식을 가지고 발달의 결정적 시기동안 환경으로부터 언어를 습득한다고 주장.UG= Principle (모든 언어에 공통적으로 .. 2024. 8. 26. Learning Style 종류 1. Perceptually-based Learning Style Visual Learner - 시각적으로 의존Auditory Learner - 청각적인 것에 더 의존Kinaesthetic Learner - 몸을 움직이는 것을 잘하는 학습자 2. Cognitive Learning Style Field Dependent Learner: 장의존형 학습자, 나무>숲 Field Independent Learner: 장독립형 학습자, 나무>숲 2024. 8. 26. Transfer 종류 2가지 Interlingual Transfer: L1에서 L2로 전이, 모국어가 영향을 미치는 경우! Intralingual Transfer: L2 안에서 이전 지식이 전이됨. 과잉일반화의 오류도 여기에 해당됨! 2024. 8. 26. L2 발달 순서 1. Grammatical Morphemes*L1 발달순서: (진행형>복수형>Copular Be) > (auxiliary>article) > 불규칙동사 > (규칙동사>3인칭-s>소유격's)*L2 발달순서: 진행형>복수형>불규칙동사>소유격> Copular Be>관사>규칙동사>3인칭-s> auxiliary 2. 부정문: 앞에 no, not > don't+조동사 > not 2번 쓰기, 인칭/수 일치 X > do+동사원형X 3. 의문문: 단어+rising intonation > 문장+rising intonation > do-fronting > SAI / Wh 도치 > 도치 가능 > 부가의문문, 부정의문문 4. 소유격: 관사, your > his/her 하나만 주구장창 > 꾸밈받는 물건의 성별로 통일 > 에러X .. 2024. 8. 26. Lexical Identification / Discrimination / Decision 구분하기 🙄매 번 헷갈리는 세 용어 구분하기! Lexical Identification - 단어 자극을 듣고 단어가 맞는지 아닌지를 구분 (Y/N로 구분)- 내 머릿속에 Representation을 떠올려야해서 어려움 Lexical Discrimination - 연속적으로 자극이 2개가 나오고 같은 단어인지 아닌지를 체크- 2개의 자극과 단어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 다른 사람이 발화하기도 Lexical Decision - 자극을 듣고 실제 존재하는 단어인지 아닌지를 선택한다. (단어 vs 비단어)- 단어 학습 실험 이후에 진행을 하는 편- mental lexicon을 파악하는 것이지 뜻을 묻는 것이 아니다.- Implicit knowledge, processing을 묻는 실험- 이미 알고 있는.. 2024. 7. 30. Online Tasks과 Offline Tasks 차이 헷갈리는 심리언어학 용어 정리하기🙄 Online Tasks과 Offline Tasks는 인터넷으로 진행하냐 아니냐가 아니라는 점! Online Tasks - Tasks를 진행하면서 판단이 불필요- 기계가 무의식적인 언어활동 과정을 측정-진행하기에 비용이 비쌈- 결과 데이터 양 또는 용량이 매우 크다.- 분석이 어려워 프로그래밍이 필요하다.- 예시) ERP, Eye-tracking... Offline Tasks - Judgement나 Decision이 실험 과정에 한 번만 존재하는 경우- 최종 결과만이 도출되는 경우 2024. 7. 3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