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variational features2

L2교육의 6가지 접근법: Teachability Hypothesis 5. Teach what is teachable = learnability(가르칠 수 있는 것을 가르쳐라) : teachability hypothesis (processability / teachability) 준비가 되지 않으면 가르치지 말라는 입장임.발달순서에 대한 부분은 아직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발달순서에 따른 수업이 학습을 촉진 시킬수 있다는 증거는 있다. 또한 학습자가 중간언어의 수업을 통해 바뀌는 방법에 대해 교사의 실질적인 기대를 갖게 하여 도움이 된다.  a.developmental features몇몇 언어구조, 문장에서의 단어순서는 발달 순서가 있고 예측가능한 발달경로를 따라서 발달한다고 하여 정해진 순서대로 가르쳐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학습상의 발달단계를 평가하여 순서상 다음에.. 2024. 9. 30.
기타 SLA 가설: The noticing hypothesis / Processibility theory # The Noticing hypothesis 주목가설 주목하지 않으면 학습되지 않는다고 하며 주목의 결과가 꼭 습득은 아니지만 필수적인 시작점임. 이해 가능한 입력을 통해 언어지식의 성장을 이끌어냄. 주목가설의 핵심은 detection+attention+awareness.  # Processibility theory (처리가능성이론= Learnability / teacherability) 학습자는 L1과 L2 모두 “발달 단계”를 가진다. 즉, 배움에는 순서가 있고 다음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readiness가 필요. 모든 학습자의 습득순서는 달라도 동일한 습득순서를 따름. developmental readiness발달 준비 단계: 학습자가 input 또는 수업을 처리할 수 있는 단계에 도달했을 때 수업.. 2024. 8.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