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척척박사/영어교육

기타 교육 방법론 용어 정리2

by es25n.n 2024. 9. 30.

 

 

 

6.CBLT(content-based language teaching) =CLIL

내용기반수업은 새로운 언어에 노출되는 시간을 늘리며, 학생들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언어를 습득하는 동기를 제공하고, 의사소통의 필요성을 만들어 낼 수 있음.

늦은 시기일지라도 어느 정도 유창함을 이룰 수 있지만, 높은 수준의 언어 정확성은 글쎄..

학교 안과 밖의 차이가 클수록 이 정확성은 한참 뒤처진다(홍콩의 예)

 

 

7.양적연구, 질적연구, 행동(action)연구

:양적연구, 질적연구는 이론적 제안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며, 교실에서 교사가 수행하는 행동연구는 계획-실행-관찰-반성의 사이클로 결과를 적은 연구임.

 

 

 

8.실험적 연구(experimental studies)의 목적은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변수들을 확인하기 위함.

실험적 연구는 통제그룹과 실험그룹을 포함하며, 각 그룹에는 모집단의 공평한 기회를 위해 무작위로 참가자가 할당.

무작위는 반드시 필수적으로 valid한 결과를 위한 것이며 교실환경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양적연구(quantitative research)는 준 실험(quasi-experimental)로 불림.

그 이유는 학생들이 통제 그룹과 실험그룹에 무작위로 할당되기보다 있는 그대로(intact)교실 그룹에 있기 때문.

그래서 pre-test가 꼭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