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척척박사/영어교육

기타 SLA 가설: Sociocultural perspective

by es25n.n 2024. 8. 28.

 

# Sociocultural perspective : 사회문화적 관점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이론은 언어는 사고와 함께 간다고 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말함.

언어와 사고는 단단하게 얽혀있어서 언어로 사고(mediation)한다고 함.

 

 

# Mediation 3단계

-observation relation

-others relation(social interaction)

-self-regulation(internalization, private speech)

 

 

내면화는 ZPD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며, 대화상대자의 scaffolding에 의해 학습자가 더 높은 수준에서 수행가능하다.

 

ZPDKrashenI+1은 서로 다른 견해임.

ZPD는 학습자가 대화상대자와의 협업을 통해 지식을 쌓는 영역이며, 공동 구축된 지식은 대화상대 또는 사적인 대화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라고 강조, I+1은 입력이 학습자의 밖에서 오고 학습자의 현재 발달단계를 약간 넘은 언어구조를 포함하는 입력의 이해 가능성을 강조.

 

 

<Learning by talking>언어를 통해 학습

 

Swain의 이해 가능한 output가설을 바탕에 두고 몰입수업을 하였고 output이 부족하고 필요하다고 봄.

collaborative dialogue는 언어 사용과 언어학습은 함께 일어난다. 언어사용은 언어학습에 영향을 줌. 그것은 인지적활동이며 사회적 활동이라고 하는 맥락에서 L2학습자들이 formfunction에 동시에 주의를 기울이는 production task(speaking, writing)를 하는 동안 언어지식을 함께 만드는 것을 말함.

 

 

 

<사회문화 관점 vs 다른 상호작용주의 모델>

사회문화 관점은 인지적 처리를 시작부터 외부적으로 보고 점점 내재화 한다.

다른 상호작용주의 모델은 수정된 input과 상호작용은 내재적 인지 처리 통해 raw material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