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주의, 생득주의와 구분되는, The cognitive perspective인지적 관점에 해당하는 다양한 모델들
1)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정보처리모델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정보처리모델
The cognitive perspective의 한 갈래 #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정보처리모델 (1) Automatic Knowledge Build-up 자동지식축적정보처리는 automatic knowledge를 만드는 것으로 학습된 지식이 습득된 지식이 되고 자
es25ai.tistory.com
2) Usage-based learning (connectionism) 사용기반학습
⟷ 행동주의와 반대
언어는 사용하면서 습득한다고 주장하며, connectionism(결합설)과 연결되어, 형태(form)+의미(meaning)를 연결하거나 단어와 단어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통해 인지됨.
학습자는 언어적 특징이나 그 특징의 맥락사이의 연결의 네트워크를 더 강하게 발달시킴.
3) The Competition Model
문장을 해석할 때 여러 가지 단어들이 서로 경쟁. L1규칙이 가장 많이 사용됨.
(1) 언어 단서(cue)와 의미(meaning)
정보 처리는 단서(cues)를 통해 이뤄지고, 그 단서들은 문장내의 어순, 문법 markers, animacy(생물) signal임.
영어는 가장 일반적인 지표로 단어순서 사용(SVO패턴)
이탈리아어와 스페인어는 더 유연한 어순을 가지고 문법표시나 명사의 활동성에 더 의존함.
(2) L2 습득하기 위한 도전
-유연한 어순의 언어를 배우는 영어원어민은 어순의 경향을 억제하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3) 인지 언어학
-언어습득은 복잡한 지식 체계의 일부임.
-언어습득은 의식적 인지적 경험들을 통해서 이뤄짐. 이런 점에서 Krashen과 다르지 않은가?
-언어 사용을 통해 발견, 범주화와 패턴 결정이 연결
'척척박사 > 영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타 SLA 가설: The noticing hypothesis / Processibility theory (1) | 2024.08.27 |
---|---|
기타 SLA 가설: The interaction hypothesis 상호작용 가설 (1) | 2024.08.27 |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정보처리모델 (2) | 2024.08.27 |
Krashen’s Monitor Model (4) | 2024.08.26 |
SLA 영어 교육의 3가지 관점 (1) | 2024.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