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Language Learning
Community Language Learning
상담 학습이론을 언어 교육에 적용
칼 로저스 (전인교육, 인지+정서, 지식 쌓기에만 몰두하는 것이 아니라 정서적인 면도 고려)을 바탕으로 개발
커뮤니티 = 서로 협력하는 관계, 경쟁X, 학습공동체
bilingual education과 관련 (L1, L2 모두 사용)
#Approach: Humanistic approach (학생이 topic을 정하면 교사가 교수요목 만들어 수업 진행)
*언어이론: 상호작용적 관점(언어=사회적 과정), VERBAL+NONVERLBAL 추가
- 학습자간 상호작용>친밀감 상승, 협력, 동기부여
- 학습자-교사간: 의존>자기주장>분노>관용>독립
*학습이론: 전인적 학습 (인지+정서)
- 아동 발달과 동일하게 봄. 언어는 교사와의 관계를 통해 발전, 학습은 사회적 경험으로 경쟁하는 존재X
*학습과정의 5단계
-출생: 안정감, 소속감
-성장: 독립성
-정체성 주장, 조언 거부
-비판ok, 안정감
-성숙: 자기만의 스타일 발전, 새로운 학습자를 위한 교사 역할
*Convalidation (Consensual Validation) = COMMUNITY
: 합의적 검증, 교사와 학습자간 상호긍정과 이해가 학습과정에 필수
*성공적인 학습을 위한 심리적 요구 SARD
S: 안정감 Security, 안정감을 느껴야 학습 성공
A: 주의력 attention – 주의력 높아야 참여 잘 할 수 있음 / 공격성 aggression - 습득한 내용을 자신감있게 표현
R: 파지 Retention – 시간이 지나도 정보를 잘 불러옴, 내면화 / 성찰 Reflection 수업 중 성찰을 통해 학습 과정과 미래 목표를 재평가
D: 판별 Discrimination – 학습 내용을 분류, 관계성 파악 > 교실 밖에서 의사소통 진행
#Design
*Objectives: 명확X, 원어민 수준에 가까운 능력
*Syllabus: 구술+쓰기, 학습자가 하고 싶은 주제나 메시지 중심~이걸 실라버스로 발전
*Types of learning and teaching activities: 번역, 그룹활동, 녹음, 필사, 분석, 관찰, 청취, 자유대화
*Learner roles: 경철, 자유롭게 의미 전달, 상호작용, 협력
*Teacher roles: 심리적 문제 다루고 정서적 갈등 해결, 지원 역할 > 독립적 학습 유도, 안전한 학습 환경 조성
*The role of instructional materials: 교재 사용 안함. 녹음한 내용이 교재 역할 (필사)
#Procedure
- 언어 학습에 동의
- 침묵 속에서 토론 주제 결정, 자발적 발언으로 상호작용 시작...
- 교사에게 모국어로 다른 사람에게 하고 싶은 말 제시
- 교사는 경청하고 목표 언어로 재진술
- 해당 말을 다른 학생에게 목표 언어로 반복 (Lg alternation, target Lg는 반드시 녹음 > 이후 필사를 통해 reflection)
- 녹음된 테이프와 기억을 통해 다시 듣고, 수업 중 메시지 되돌아 봄
#한계점
: 상담적 접근이 실제 언어 학습과 맞지 않음. Syllabus 없음. 정확성 부족, 뛰어난 교사 역량을 요구